티스토리 뷰

- 주리론 주리파




그러나 주리론과 대립각을 세웠던 주기론主氣論도 이理의 절대성을 부정하지는 않는다. 주리론적 입장은 이황李滉을 비롯한 영남학파가 취했다. . 주기파의 세력 근거인 기호畿湖지방은 조선 시대 대부분의 기간을 여당의 주리론主理論 과 주기론主氣論


주리파主理派는 이황의 이기호발설을 옹호하여 이理 일변도의 심즉리心卽理를 주장한 조선 성리학의 양대 산맥 중의 하나이다. 주희의 성리학이 조선왕조에 주리파


주기론=주기파, 주리론=주리파 인가요?? 주리론은 동인의 학맥인데. 또 호락논쟁 당시 주기파인 호론은 인간과 물질의 본성을 다르게 보아서 이를 화이론과 연결 게시글 신고 팝업 닫기





대하여 깊은 관심을 가져서 관념적 이기론을 중심으로 발달하였습니다. 이기론은 주리파와 주기파을 중심으로 발달했습니다. 도덕적 원리를 중시한 주리론은 이언적이 주리파와 주기파의 비교


학파를 수립하게 된다. 그 가운데 이황의 견해를 따르는 학자들을 주리파主理派, 그들의 이론을 주리론이라 하며, 이이의 견해를 따르는 학자들을 주기파主氣派 사단칠정/ 격물치지/ 주리론& 주기론




- 주리론 의 선구자




이기론의 선구자 1 화담 서경덕 1 이와 기를 일원적으로 보는 기일원론 . 조선시대 성리학의 융성 화담 서경덕, 남명 조식, 회재 이언적, 주리론, 이, 기의 관점‎ ‎* 이귀기천, 이존기비 1 이 본연의 이기론‎ ‎1 이기 이원론 이와 기는 상호 의존적인 조선 19


주기론 과 주리론 주리론 주리론은 주자의 견해를 보다 충실하게 받아들인 서경덕의 학문을 주기론의 선구자이지만 동인중에 북인을 중심으로 주기론 과 주리론 위정척사 서경덕 이이 teapgirl25





특히 강조2 내수한 경을 실천하는 의를 강조 북인 3 남명학파 정인효, 김효원이황 등2 주리론 선구자3. 이기론의 발달 특징 선구자 집대성 계승자 이론 학파 이황, 율곡 이이 서경덕, 조식, 이언적, 주리론, 주기론, 이기이원론


발달했다. ​ ※ 주자朱子 송대宋代의 유학자로 본 이름은 주희朱熹이다. 고대등이 이기론理氣論 연구에서 선구자의 위치에 있었다. 이언적은 기氣보다는 성리학의 발달, 이황의 주리론과 이이의 주기론 비교




- 주리론 뜻




퇴계 이황 선생의 글들을 읽으면서 소개하려 합니다. 성리학에서 이理와 기氣에 대한 선조들의 치열한 주기론 주이론 논쟁을. 읽는대로 소개하려 주기론과 주리론의 의미


이황의 주리론이 재야 사림의 자리에서 현실을 비판하는 정치이념이었고, 에 나오는 희僖・노努・애哀・낙樂・애愛・오惡・욕欲을 뜻한다. 율곡이이와 퇴계이황의 차이점





칠 + 뜻 정 인간이 가지는 자연적인 감정 = 희 / 노 / 애 / 구 / 애 / 오 / 욕 기쁘고 분노하고 사랑하고 두렵고 슬프고 미워하고 탐내는 감정 특히 사단의 경우 맹자 주리론 주기론; 이황과 이이의 사단칠정 논쟁에 대하여




- 주리론 이이




16세기에 이르러 조선의 성리학性理學은 관념적인 이기론理氣論을 중심으로 발달하였다. 우주 속에 존재하는 모든 현상은 이理 정신적 요소와 주리론主理論과 주기론主氣論


주리파主理派는 이황의 이기호발설을 옹호하여 이理 일변도의 심즉리心卽理를 주장한 조선 성리학의 양대 산맥 중의 하나이다. 주희의 성리학이 조선왕조에 주리파





차분한 자세로 옳은 일을 행하라는 경중시 영향 이황의 주리론은 훗날 위정척사사상으로 발전 율곡 이이 15361584; 중종31선조17; 기호학파; 주기론 기발이승일 주리론 주기론; 이황과 이이의 사단칠정 논쟁에 대하여


조선 중기 철학의 양대 산맥이라 할 수 있는 퇴계 이황의 주리론과 율곡 이이의 주기론은 공통적으로 중국 유학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퇴계 이황의 주리론 vs 율곡 이이의 주기론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